다운받는방법에 대해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웹하드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일단 엡하드중에서도 그리드 없는 웹하드를 찾다보니
G파일이 제일 괜찮은거같습니다.
여기서 그리드에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인터넷 속도 저하의 주범 그리드 (Grid), G파일은 안전? |
G파일은 회원님들의 PC자원을 동의 없이 몰래 사용하는 그리드 시스템을 절대 사용하지 않습니다. G파일은 오히려 특정 집중 이용 시간대 회원님들의 속도 저하 현상을 해소 하기 위해 최근 서버 증설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드’ 가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에 대해 좀더 정확하게 알고 불필요한 리소스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그리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료 다운로드 쿠폰의 진실을 아시나요?
여러 타 웹하드 사에서 홍보를 위해 배포한 무료쿠폰이 PC방부터 편의점까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을 것입니다. 사이트에 접속해 회원가입을 한 뒤 쿠폰에 쓰인 번호만 입력하고 해당업체의 소프트웨어를 설치만 하면 누구나 원하는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쉽게 접할 수 있는 무료 다운로드 쿠폰을 이용하기 위해 설치한 소프트웨어에는 그리드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그리드시스템이 개인 컴퓨터의 자원을 잡아먹어 회원님의 컴퓨터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웹하드 사업자 입장에서 대용량의 파일을 자체 서버와 회선만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유지 비용이 만만치 않다 보니 얄팍한 해결방안으로 나온 것이 그리드 시스템을 이용한 분산 컴퓨팅 기법입니다. 웹하드 무료 다운로드 쿠폰은 미끼였던 것입니다.
그리드 시스템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그리드라는 시스템은 특정 컨텐츠를 웹하드업체의 컨텐츠 저장 장치 이외에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은 유저의 PC에서도 자동으로 공유가 일어나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위 그림과 같이 특정 컨텐츠를 웹하드 업체에서 제공하고 있을 때, 다운로드 유저 ①, ②, ③이 웹하드 업체를 통해 해당 컨텐츠를 다운 받은 후 삭제하지 않고 보유하고 있을 경우 최초 다운로드가 누군가를 통해 이루어진 후에는 위 그림의 다운로드 유저 ④와 같이 해당 컨텐츠를 다운받기 위해 웹하드 업체 이외에 기존에 다운로드를 통해 해당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다운로드 유저 ①, ②, ③의 PC로부터 업로드를 통해 컨텐츠를 전달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즉, 자신은 자료를 다운받기만 했을 뿐인데 자의와 상관 없이 컨텐츠 공유를 하게 된 셈입니다.
이러한 그리드 방식은 단순히 기술적 측면으로만 볼 경우 웹하드 업체의 회선에 부하를 덜어주어 다운로드 받는 유저가 집중되더라도 보다 빠르게 컨텐츠를 내려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겠으나, 실제로는 유저가 다운로드 받은 시점 이후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드 시스템이 가동중인 PC일 경우 갑자기 인터넷이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심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저사양을 요구하는 인터넷 사이트 이외에 컴퓨터 게임/영화/원격제어 등을 이용할 시 끊어짐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만일 회사에서 이와 같은 그리드가 일어날 경우 심할 경우에는 방화벽에까지 속도로 인한 문제가 확대되어 사내 네트워크가 마비 될 수도 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단계별로 따라 하시면 회원님 PC의 그리드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고 향후 영구적으로 실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1. 시작메뉴 > 실행을 클릭한다.
입력란에 그림과 같이 services.msc를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누른다.
더블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나는데, 이중 2가지 항목을 수정합니다. - 시작유형을 자동에서 사용안함으로 변경 - 서비스 상태에서 '중지' 버튼을 눌러준다. - 마지막으로 맨 아래 확인 버튼을 눌러준다. 위 3가지 과정에 따라 나머지 2개 서비스 (QuickDownload Service, QuickDownload Update도 동일하게 변경 후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추가적으로 서비스 중 QuickDownAgent , QuickDownload Service , QuickDownload Update, Express Service , xOcean , xOceanUpdate , QBrid Service , NATService , cloudmanager , GDownServiceManager , microcloudengine KService , BonService , FIDownService , QUploader 항목도 있다면 마찬가지로 '사용안함'/'서비스 중지' 처리 해줍니다.
위와 같이 올바르게 적용하셨다면 아래와 같이 서비스 시작유형이 '사용안함' 상태로 변경됩니다.
2. Ctrl + Alt + Del 키를 눌러 Windows 작업관리자를 선택 후 프로세스 목록에서 찾아도 됩니다. natsvc.exe 라는 웹하드 그리드 프로세스 확인
3. 시작 >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 실행후 NAT Service 1.5 를 선택 후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으로 불필요한 파일 전송을 통해 웹하드 서비스 이용 후 사용자의 인터넷 환경이 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드 기술의 대부분이 Active-X의 형태로 각종 프로그램들을 설치할 때 프로그램 속에 잘 보이지 않도록 숨겨 실제 이용하는 고객이 어떤 자료가 설치되는지 확인하지 않고 무조건 '동의함', '계속', '설치' 등의 버튼만을 누르고 있는 실태를 악용하여 암묵적으로 확산되고 있어 그리드로 인한 속도 저하를 인터넷 품질 문제로 단정짓고 인터넷 서비스 업체의 품질부서로 불만을 제기하는 사례가 빈번합니다. 이용자들이 '나는 다운로드만 받았다.'로 오인되기 쉬우나, 실제로는 업로드도 함께 자행한 것이 됩니다. 즉, 다운로드 받은 이용 고객이 아닌 다운로드 이후 업로드까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동조를 하게 된 것입니다.
※ 그리드 삭제 프로그램을 다운받으셔서 그리드 프로그램 삭제 후 실행이나 다운로드가 안 되는 웹하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
아래배너클릭하면 회원가입창으로 넘어갑니다.